728x90
다음 명령어를 통해 certbot을 다운받는다.
apt-get install python3-certbot-nginx
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통해 해당 주소에 대한 SSL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.
certbot certonly --nginx -d {도메인 주소}
나는 SSH로 접속하면서 IP 주소밖에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, 도메인 주소가 없어서 SSL 인증서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.
아무리 찾아봐도 도메인 주소 없이는 인증서 발급이 안됐고, 결국 도메인을 만들었다.
Duck DNS
Duck DNS free dynamic DNS hosted on AWS news: login with Reddit is no more - legal request support us: become a Patreon
www.duckdns.org
위 주소로 접속하면 해당 IP 주소에 대한 무료 도메인을 만들 수 있다.
하지만 단순히 도메인만 가지고는 유효한 DNS 레코드가 없다면서 인증서를 주지 않는다.
따라서 추가적인 설정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.
홈페이지의 `Install` 탭에 들어가면 각 운영체제 별로 필요한 세팅을 할 수 있도록 친절히 가이드 해준다.
나는 EC2에서 하고싶으므로 EC2를 선택, 도메인도 원하는걸로 선택해준다.
설명을 천천히 따라하다보면 드디어 SSL 인증서를 받을 수 있게 된다.
와우!
728x90
'데이터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SSH로 EC2 인스턴스 jupyter notebook 접속하기 (0) | 2023.07.26 |
---|---|
[AWS]Rekognition과 Comprehend를 이용한 텍스트 정보 추출 애플리케이션 (0) | 2023.04.04 |
[AWS]웹 UI 기반 객체 탐지 애플리케이션 (2) | 2023.03.29 |
[AWS]Chalice를 이용한 로컬 AI 애플리케이션 (2) | 2023.03.28 |
[AWS]AWS CLI 개발환경 구축 & 객체감지(Rekognition) 연습 (0) | 2023.03.26 |
댓글